판촉물인쇄 가능한 곳 어디일까?
판촉물인쇄 가능한 곳 어디일까?
Blog Article
1959년 교세라의 전신 교토세라믹을 세울 당시 이나모리의 나이는 스물일곱 살에 불과했다. 300만엔의 자본금으로 시작한 벤처기업 교세라는 현재 시가총액 2조4700억엔에 달하는 대기업이다. 이나모리가 1984년 설립한 다이니덴덴(현 KDDI)은 일본 2위 이동통신사로 성장해 시총이 11조1700억엔에 이른다. 그는 65세가 된 2005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46년간 모은 퇴직금 6억엔을 전부 모교인 가고시마대 등에 기부하겠다고 밝히고 불교에 귀의해 승려의 길을 걷기도 했다.
그러나 이나모리는 금세 경영 현장에 돌아왔다. 2010년 파산 위기를 맞은 일본항공(JAL)이 그에게 ‘SOS’를 쳤다. 그때 이나모리는 팔순에 가까운 나이였지만 녹슬지 않은 노장의 실력을 보여줬다. 이나모리는 무보수 회장직을 맡아 2년8개월 만에 JAL을 도쿄 주식시장에 다시 상장하고 회사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았다. JAL을 흑자로 전환하는 데 성공한 이나모리 회장은 2013년 퇴임했다.
그는 생전 젊은 경영자 육성에도 앞섰다. 경영 아카데미 ‘세이와주쿠’를 설립해 일본은 물론 한국 미국 중국 등 전 세계에서 1만 명 넘는 경영인을 배출했다.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도 젊은 시절 세이와주쿠 수강생이었다.
이나모리는 2022년 8월 90세를 일기로 노환으로 사망했다.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십과 엄격한 경영 원칙을 지키면서도 소박한 성격, 넓은 인품을 지닌 경영인으로 기억되는 이나모리는 일본인이 가장 존경하는 기업인 중 한 명이다.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이나모리는 대학 시절 첫 직장 동료로 만난 스나가 아사코와 결혼했다. 그가 사망할 때까지 일평생을 함께한 그의 아내는 우장춘 박사의 넷째 딸이다.
<이나모리 가즈오, 부러지지 않는 마음>은 저자가 생전 각국 리더와 젊은 경영인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강연의 핵심을 모은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리더십 지침서’라고 소개한다. 이나모리가 일생을 경영 현장에서 보내며 터득한 경영론이 43개 주제로 정리됐다. 이나모리 자신이 직접 경험한 일화부터 불교 사상, 일본 역사 속에서 그의 교훈이 적용될 수 있는 사례도 가볍게 담았다.
이 책을 check here 관통하는 핵심은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노력’이다. 저자는 이를 “교세라 철학의 근간이 되는 원칙”이자 “지금까지 걸어온 내 인생을 가장 단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모든 게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를 “리더의 수난 시대”로 정의한다. 이어 “격변하는 환경 속에서 수많은 사람을 한데 모아 장애물을 뛰어넘고 조직을 발전시켜야 하는 요즘 리더에게는 더욱더 남다른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책은 노력에 기반한 열정, 의지, 인격, 이타심, 목표, 도전, 긍지와 같은 가치를 강조한다.
위대한 업적에 비해 이나모리 회장이 얘기하는 경영론은 평범하다. 책은 구체적인 경영 전략보다는 보편적인 인생관과 경영 원칙을 이야기한다. 다소 시시하고 진부한 조언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이 책이 유명 식당의 ‘비밀 레시피’ 같은 성공 비결 대신 철학을 강조하는 이유는 이나모리 회장의 인생관에서 찾을 수 있다. 저자는 “성공에 이르는 수많은 방법이 있다고 하지만 ‘열심히 일하는 것’을 뺀 성공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이 경영인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가 특출난 능력이 아니라 원칙을 따라 묵묵히 걸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마음이 복잡할수록 원칙에 더 집중한다”는 그의 말은 경영인이 아니더라도 모든 독자가 직장생활과 일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생철학이다
매일 죽음을 만나는 남자, 법의학자 유성호 서울대 교수가 신간 <법의학자 유성호의 유언 노트>를 펴냈다. 27년간 3000건 이상의 부검을 수행하며 깨달은 죽음과 삶에 관한 통찰, 나아가 유한한 삶과 필연적 죽음을 마주하는 ‘실천적 방법’을 담은 책이다.
유 교수가 죽음 공부를 통해 얻은 깨달음은 한마디로 “삶을 원하거든 죽음을 준비하라”는 것이다. ‘어떻게 사느냐’만큼이나 ‘어떻게 죽느냐’도 중요하다. 이 책에는 죽음에 직면하는 방법에 관한 지혜가 실려 있다. 저자는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는 것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생명을 유지하겠다는 것처럼 무모하다”고 말한다.
유 교수는 ‘유언’이라는 키워드로 죽음과 삶을 직면할 것을 권한다. 일본에는 ‘슈카스’, 즉 임종 활동의 일환으로 ‘엔딩 노트’를 쓰는 문화가 있다. 노인이 인생의 마지막을 충실하게 준비하기 위해 작성하는 기록으로, 장례 절차와 유품 처리, 유언 등을 담는다. 청년과 중장년에게도 자신의 삶을 점검하는 도구로 조명받고 있다.
유 교수는 “유언은 삶의 마지막 순간에 남기는 말이 아니라 앞으로 살아갈 날들을 더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한 실천에 가깝다”고 말한다. 그 역시 매년 한 번씩 유언을 쓰며 기꺼운 마음으로 죽음을 상상하고 준비한다고 한다. 이로써 살아온 날들을 돌아보고 살아갈 날들을 계획한다는 설명이다. 자필로 묵묵히 써 내려간 저자의 유언이 뭉근한 감동을 자아낸다. 이외에도 사랑하는 사람들과 더 깊이 사랑하는 방법, 인생의 의미와 목표를 발견하는 방법, 죽음을 능동적으로 맞이하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기술을 나눈다.